교수 소개
연구주제는 우리나라 교육 실제에 적절한 교육이론을 창안하는 것으로서, 특히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과 고교의 진로별 교육과정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학생의 생애주기에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연구, 국가교육과정기준 연구 개발
패러다임 전환 연구, 학년군별 교과군별 교육과정 연구, 교육과정과 문명의 변화
및 사회 변화, 교육과정과 학생, 교육과정과 교사의 관계 연구 등을 수행한다.
교육과정과 시간(학년군, 학년도, 학기제 등)사용 적정화 연구, 교과서 발행 제도 연구, 교육학을 융합하는 연구, 통일에 대비하는 남북한 교육과정 통합 방안 연구, 교과통합적 주제(창의성, 사회협동성, 진로 등)를 가교총론으로 개발하는 연구,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 학교 신설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고교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열쇠모형 팔괘모형 및 삼각모형, 교과통합적 주제(창의성, 사회협동성, 진로 등)를 가교총론으로 개발하는 연구,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 학교 신설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를 창안하였다. 그간 등재학술지에 100여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연구보고서 100여편, 단행본
30여책을 단독 혹은 공저함. 2016년 현재 21명의 박사와 19명의 석사를 배출하였으며, 총50여 편의 박사학위논문 지도를 통해 교육과정 관련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개발을 종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교육부, 교육청, 학교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정책 자문 활동, 교원 연수 및 재능 기부에 앞장서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