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KUPID

전공소개




지리교육 목표

지리교육 및 지리학의 새로운 이론 학습, 지리정보의 처리 등을 교육하여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국내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력을 가지며, 이를 실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과 지도자의 자질을 갖춘 지리교사의 재교육을 도모한다.

지리교육 전공주임교수
전공 교수명 사진 E-mail 전화번호
지리교육 성 영 배 ybseong@korea.ac.kr 3290-2367
지리교육 이수과목표
지리교육 이수과목표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시간 학점
전공필수 EGE605 지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2 2
EGE606 지리교과교육론 2 2
EGE612 한국지리교육론 2 2
일반필수 EDU002 연구지도(4학기) 2 2
EDU002 연구지도(5학기) 2 2
전공선택 EGE516 경제지리교육론 2 2
EGE527 지리학사특강 2 2
EGE531 인문지리특강 2 2
EGE532 지도학및GIS특강 2 2
EGE533 자연지리특강 2 2
EGE534 지리평가론특강 2 2
EGE535 촌락지리교육론 2 2
EGE538 도시지리교육론 2 2
EGE540 기후학교수론 2 2
EGE541 지형학교수론 2 2
EGE567 환경지리교육론 2 2
EGE569 세계지리교육론 2 2
EGE578 지역개발론 2 2
EGE579 인구지리교육론 2 2
EGE583 교통지리교육론 2 2
EGE584 사회지리교육론 2 2
EGE585 문화지리교육론 2 2
EGE591 지리교육연구방법론 I 2 2
EGE592 지리교육연구방법론 II 2 2
EGE594 지리교과논리및논술 2 2

지리교육전공 - Geography Education

EGE 605 지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2]
지리수업을 위한 교재의 선정, 내용의 구성, 교수방법, 그리고 평가가 중심내용이며, 예비 지리교사로 하여금 교과서의 분석능력, 지리교재의 개발능력, 지리수업의 설계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EGE 606 지리교과교육론 - Seminar in Geographical Education [2]
지리교육 이론에 관한 국내외 문헌들을 검토함으로써 지리교육의 목적, 방법, 평가에 이르는 전 가정을 이해한다. 동시에 새로운 지리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

EGE 612 한국지리교육론 - Seminar in Teaching Geography of Korea [2]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구성하는 · 한국지리 · 를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요소별로 나누어, 적합한 교수방법 교재 및 지도법을 개발한다.

EGE 516 경제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Economic Geography [2]
경제현상의 공간적인 유사성과 상이성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지론에서 지역개발, 국제무역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경제지리의 교수 및 학습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EGE 527 지리학사특강 - Seminar on History of Geography [2]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지리학 사조의 변화 과정과 각 시대의 특성을 연구한다.

EGE 531 인문지리특강 - Topics on Teaching Human Geography [2]
인문현상의 지리적 요소를 구성하는 인구, 촌락, 도시, 산업, 교통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바탕으로 인문지리 내용에 적합한 교수방법, 교재 및 지도법을 개발한다.

EGE 532 지도학 및 GIS 특강 - Topics on Cartography and GIS [2]
지도학 및 GIS의 주요 주제 및 쟁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작용사례를 이용하여 지도학 및 GIS의 이론들을 응용한다.

EGE 533 자연지리특강 - Topics on Physical Geography [2]
자연현상의 지리적 요소를 구성하는 지형, 기후, 식생, 토양, 해양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연지리 내용에 적합한 교수방법, 교재, 지도법 등을 개발한다.

EGE 534 지리평가론 특강 - Theories and Practice of Evaluation in Geography [2]
지리 교수 · 학습의 결과 및 학업성취에 대한 평가의 도구 및 방법들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서 그 적용방법 및 가능성을 검토한다.

EGE 535 촌락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Rural Settlement Geography [2]
촌락의 입지, 발생 형태, 기능을 1차적으로 연구하고 촌락에서 최근에 일어나는 사회 경제적 변화 등과 관련한 지리교수의 이론을 다룬다.

EGE 538 도시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Urban Geography [2]
고대도시의 기원 및 형성과정을 비롯하여 현대도시의 구조, 기능 체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도시지리관련 내용의 지리교수 및 학습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EGE 540 기후학교수론 - Teaching Climatology [2]
기후요소 · 기후인자 · 기후구분에 대하여 고찰하고 생활환경으로서의 세계의 기후지역을 중등학교 교과과정과 관련시켜 강의한다.

EGE 541 지형학교수론 - Teaching Geomorphology [2]
지형의 발달에 관한 일반 이론을 고찰하고 인간생활과 관련이 깊은 지형들을 선별적으로 다룸으로써 지형관련 내용의 교수방법을 모색한다.

EGE 567 환경지리교육론 - Seminar in Environmental Geographical Education [2]
인관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지식 및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교육 및 지리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교수지도법 등을 개발한다.

EGE 569 세계지리교육론 - Seminar in Teaching World Geography [2]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핵심적 내용인 ‘세계지리’를 세계화시대에 발맞춰 학습할 수 있는 교수방법과 지도법을 개발한다.

EGE 578 지역개발론 - Seminar in Regional Development [2]
지역개발의 제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개발의 전략과 방법을 검토한다.

EGE 579 인구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Population Geography [2]
인구의 공간적 분포, 구성, 성장, 이동 등을 분석하고 기타 식량, 환경자원 문제, 인구정책 등 연구현상과 관련된 응용분야에 대한 지리교수의 이론에 대해 토론한다.

EGE 583 교통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Transportation Geography [2]
교통체계의 분석법을 배후지 조직 및 계층구조와 관련하여 고찰하고, 교통체계의 발달에 따른 공간과정의 탐색방법에 관련되는 지리 교수 및 학습의 이론을 다룬다.

EGE 584 사회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Social Geography [2]
노동, 주택, 범죄, 교육, 의료, 여가, 여성문제 등 주요 사회 공간적인 측면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지리 교수 및 학습의 방법을 모색해 본다.

EGE 585 문화지리교육론 - Topics on Teaching in Cultural Geography [2]
문화속성, 문화복합, 문화전파, 문화생태, 문화지역 등 문화지리학의 주요 과제를 개관하고 세계의 문화지역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지리교육 주요 목표의 하나인 국제 이해의 능력을 함양한다.

EGE 591 지리교육 연구방법론 I - Methods in Geographical Education I [2]
각종 통계자료의 계량적 처리방법과 통계의 작성방법에 관하여 토론하고, 통계자료를 실제로 지역분석에 응용하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한다.

EGE 592 지리교육 연구방법론 II - Methods in Geographical Education II [2]
지리교육 현장에서 직면하게 되는 지도의 이용법, 통계자료의 정리, 현지조사의 이론과 실제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학습한다.

EGE 594 지리교과 논리 및 논술 - Geographical Logic and Writing [2]
중등학교 지리교과에서 지리적 사고를 표현하는데 필요로 하는 논리 및 논술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영역보편적인 사고와 구분되는 영역특수적 사고의 일종인 지리적 사고의 특정과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교수-학습의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표현하고 기술할 수 있는 능력과 방법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