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임준철

Tel:  02-3290-2169

E-mail: catcher1@korea.ac.kr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한국 한시 전공

     

    The Images in Sino-Korean Poetry, Records of Official Travel to Beijing, Self-elegy Research Fields 1 Humanities Keywords Sino-Korean poetry, Imagery, Records of official travel to Beijing, Self-elegy
    Lim, Jun Chul 임준철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ollege of Liberal Arts
    Ph.D., Korea University
    catcher1@korea.ac.kr

    Descriptions of Research Topics

    1. The Images (意象) in Sino-Korean Poetry, How to Make and Use the Database of Images (意象) in Sino-Korean Poetry: Its Methodology and Models
    2. Yeonhangrok (燕行錄): Records of Official Travel to Beijing
    3. Self-elegy (自挽詩) which is a unique way of self-expression by East Asian poets. Such elegies originate in the pallbearers' singing and are a part of funeral rites. A self-elegy can be regarded as a variation stemming from the growing process of elegies. I research the meaning of this variation in literary history.

      임준철 나의 장례식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Research Fields 1 Humanities
    Keywords Sino-Korean poetry, Imagery, Records of official travel to Beijing, Self-elegy

  • Curriculum Vitae

    Education

    박사 (1996-2004):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1992-1996):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1988-1992):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Professional Experiences

    2020-현재 :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2023-현재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학부학장

    2023-현재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소장

    2022-2024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회장

    2022-현재 : 대동한문학회 『대동한문학』 편집위원

    2022-2023 :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융합교양교육기획위원회 위원

    2021-현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평의원

    2021-2023 :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고전번역협동과정 주임

    2021-2023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주임

    2021-현재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편집위원

    2021-2023 :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학과장
    2020-2021: 대만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訪問學者
    2018-2020 : 고려대학교 BK21+ 한국어문학사업단 운영위원

    2017-2020 :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학과장
    2017-현재 :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 편집위원

    2016-2023 : 한국시가문화학회 『한국시가문화연구』 편집위원

    2015-2020 :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부교수

    2014-2015: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조교수
    2013-2015, 2017-2019: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편집위원
    2010-2014, 2018-현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편집위원

    2009-2014: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2006-200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2005-2006: 중국 北京大學 中文系 比較文學與比較文化硏究所 招聘學者
    2005-2006: 한국학술진흥재단 박사후과정 국외연수

    수상경력

    2020년 12월 한국대학출판협회 2020 올해의 우수도서 선정(『나의 장례식』)

    2020년 11월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전공)

    2020년 7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나의 장례식』)

    2019년 10월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전공)

    2019년 10월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교양)

    2016년 10월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전공)

    2014년 6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전형과 변주』)
    2014년 6월 문화체육관광부 공감도서 학술부문 선정(『중국시가의 이미지』)

    2013년 7월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우수논문 선정(『박지원 <幻戱記>의 幻術 考證과 분석』)

    2011년 6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조선중기 漢詩 意象 연구』)

    2010년 9월 조선대학교 우수강의상

    2010년 6월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공저, 『동아시아 문화의 통섭과 역동성』)

    2008년 11월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분야 우수논문 선정(自挽詩의 詩的 系譜와 조전전기의 自挽詩)

    2007년 12월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분야 우수논문 선정(『游俠詩의 類型的 傳統과 17세기 朝鮮詩壇의 游俠詩』)

    2006년 11월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분야 우수논문 선정(『조선중기 漢詩에서의 典型 意象의 계승과 美感의 확충(Ⅱ)』)

    2006년 2월 재단법인 한국어문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4회 어문논문상

     

  • Publication

    국제학술지

    『試論韓國古代詩歌中中國詩歌意象的接受和演變』, 『中國詩學』 第11輯,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2006.10, 260-268면.
    『17世紀后金(淸)對朝鮮的侵略與鄭斗卿的游俠詩』, 『韓國學論文集』 第15輯, 北京: 北京大學 韓國學硏究中心, 2007.04, 119-126면.
    『假裝된 죽음, 그 虛構의 修辭學』, 『中國韓國學硏討會論文集』 第10號, 中國 復旦大學 韓國學硏究中心, 2010.10, 399-416면. 
    『原型與流變: 陶淵明〈擬挽歌辭三首〉與朝鮮時代自挽詩』, 張伯偉 編, 『域外漢籍硏究集刊』 第12輯, 北京: 中華書局, 2015.11, 293-336면.

    『構成燕行錄幻術記事的三種層次與幻史』, 張伯偉 編, 『域外漢籍硏究集刊』 第16輯, 北京: 中華書局, 2018.7, 15-42면.

    국내학술지

    『朝鮮中期 松都文人 詩에 나타난 審美傾向의 特質』, 『국어국문학』 제122호, 국어국문학회, 1998.12, 143-168면.
    『車天輅 詩의 意象 硏究』, 『국어국문학』 제124호, 국어국문학회, 1999.5, 111-138면.
    『林悌 詩 意象의 美的特質』, 『어문논집』 제42집, 민족어문학회, 2000.6, 49-75면.
    『拙修齋・三淵間 五山・東岳 詩 論爭의 批評史的 位相』, 『우리文學硏究』 제13집, 우리文學硏究會, 2000.12, 211-241면.
    『意象의 槪念』, 『新進文哲』, 월인, 2002.11, 369-409면.
    『鄭斗卿 詩의 虛構的 意象과 游俠的 想像力』, 『民族文化硏究』 제39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12, 67-105면.
    『權韠 詩의 精神志向과 意象의 構造』, 『東洋漢文學硏究』 제19집, 東洋漢文學會, 2004.6, 197-236면.
    『朝鮮中期 漢詩에서의 典型 意象의 繼承과 美感의 擴充(Ⅰ)』, 『韓國漢文學硏究』 제35집, 韓國漢文學會, 2005.6, 215-250면.
    『조선중기 漢詩에서의 典型 意象의 계승과 美感의 확충(Ⅱ)』, 『語文硏究』 제127호, 韓國語文敎育硏究會, 2005.9, 345-371면.
    『車天輅 詩에서의 李白 詩 ‘鼇’ 意象의 受容과 變奏』, 『비교문학』 제38집, 한국비교문학회, 2006.2, 5-36면.
    『游俠詩의 類型的 傳統과 17세기 朝鮮詩壇의 游俠詩』, 『漢文敎育硏究』 제26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6.6, 465-492면.
    『自挽詩의 詩的 系譜와 조전전기의 自挽詩』, 『고전문학연구』 제31집, 한국고전문학회, 2007.6, 319-356면.
    『意象批評의 전통과 17세기 조선의 意象批評』, 『민족문화연구』 제47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12, 175-212면.
    『對淸使行의 종결과 마지막 연행록』, 『민족문화연구』 제49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12, 141-180면.
    『朝鮮中期 漢詩에서의 ‘奇’』, 『語文硏究』 36권 4호(제140호), 韓國語文敎育硏究會, 2008.12, 447-474면.
    『畵像自贊類 문학의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징』, 『고전문학연구』 제36집, 한국고전문학회, 2009.12, 259-300면.
    『조선시대 自挽詩의 類型的 특성』, 『어문연구』 제146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6, 375-400면.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민족문화연구』 제53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12, 221-257면.
    『18세기 이후 燕行錄 幻術記錄의 형성배경과 특성』, 『한국한문학연구』 제47집, 한국한문학회, 2011.6, 65-104면.
    『幻戱詩를 통해 본 청대 북경의 幻術-金進洙의 <幻戱宴> 二十八首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0집,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1.11, 215-248면.
    『假裝된 죽음과 고통의 기억-李明五의 <自挽> 十二首-』, 『고시가연구』 제29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2, 257-284면.
    『한국 畵像自贊의 전형과 변주』, 『한문교육연구』 제38집,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6, 237-278면.
    『박지원 <幻戱記>의 幻術 考證과 분석』, 『민족문화연구』 제57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12, 569-613면.
    『조선 최초의 북경 使行詩, 張子忠의 『判書公朝天日記』 연구』, 『한국시가연구』 제34집, 한국시가학회, 2013.5, 251-285면.
    『연행록 幻術記事를 구성하는 세 가지 층위와 幻史』, 『한국한문학연구』 제51집, 한국한문학회, 2013.6, 487-533면.
    『조선시대 自挽詩의 공간과 상상』,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24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3.9, 91-122면.
    『한국 한시에서의 陶淵明 <擬挽歌辭>의 수용과 변주』, 『한국한시연구』 21, 한국한시학회, 2013.10, 291-332면.
    『조선시대 자만시의 전개 양상과 계보적 특징』, 『한국언어문학』 제88집, 한국언어문학회, 2014.3, 165-198면.
    『陶淵明의 <擬挽歌辭三首>와 조선시대 自挽詩-韓中 자만시 비교 (1)-』, 『대동한문학』 제41집, 대동한문학회, 2014.12, 459-493면.
    『『陶靖節集』과 조선시대 자만시-『擬挽歌辭三首』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시가문화연구』 제36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15.8, 239-274면.
    『조선시대 自挽詩의 특수 유형』, 『어문논집』 제74호, 민족어문학회, 2015.8, 5-37면.
    『조선 전기 和陶詩의 轉變』, 『한국한문학연구』 제60집, 한국한문학회, 2015.12, 7-49면.
    『李言直과 張岱 自挽詩의 對比 연구-韓中 자만시 비교(2)-』, 『한국시가문화연구』 제38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16.8, 185-212면.
    『金澤榮과 張麟年의 交遊와 自挽詩-韓中 자만시 비교(3)-』, 『한문학논집』 제47집, 근역한문학회, 2017.6, 155-186면.
    『支流와 還流: 自傳文學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自挽詩』, 『민족문화연구』 제76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8, 51-99면.
    『自挽詩의 자아 혼성(hybrid)와 시적 정체성-조선시대 자만시를 중심으로-』, 『한자한문연구』 제12호,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7.8, 237-266면.

    『한시와 영화 엮어 읽기-대학 교양교육에서의 한시 교육 방안에 대한 일 모색-』, 『한문교육연구』 제5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12, 5-60면.

    『『風騷軌範』의 編纂과 體裁 특성 연구』, 『한국시가연구』 제48집, 한국시가학회, 2019.9, 129-164면.

    『漢詩 分門纂類의 전통과 조선 전기 『風騷軌範』』, 『한문학논집』 제54집, 근역한문학회, 2019.10, 97-141면.

    「『風騷軌範』의 分類補註李太白詩 수용과 재분류」, 『한문학논집』 제58집, 근역한문학회, 2021.2, 303-351면.

     「한시 意象 통계 연구의 현황과 과제-해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24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05, 301-349면.

    「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한자한문교육』 제51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11, 251-279면.

    「『分類補注李太白詩』의 조선시대 수용 양상(Ⅰ)-전·중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제93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11, 149-204면.

     
    저서

    『燕行錄解題』(1), 서울: 유성문화사, 2003.(공저)
    『燕行錄解題』(2), 서울: 기획문화사, 2005.(공저)
    『한국한문학연구의 새 지평』, 서울: 소명출판, 2005.(공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善本 古書 해제집』 1,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공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善本 古書 해제집』 2,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9.(공저)
    『동아시아 문화의 통섭과 역동성』,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09.(공저)
    『조선중기 漢詩 意象 연구』 , 서울: 일지사, 2010.
    『18, 19세기 동아시아의 문화거점 북경 유리창』, 서울: 민속원, 2013.(공저)
    『전형과 변주: 조선시대 한문학의 계보적 연구』, 파주: 글항아리, 2013.
    『고전문학과 금기』, 서울: 역락, 2015.(공저)
    『나의 장례식: 自挽詩, 나의 죽음 소유하기』,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역서

    『趙榮福의 燕行日錄』, 수원: 경기도박물관, 1998.(공역)
    천즈어(陳植鍔), 『중국시가의 이미지: 詩歌意象論, 상(象)을 세워 뜻[意]을 표현하다』, 파주: 한길사, 2013.
    『내 무덤으로 가는 이 길: 조선시대 自挽詩 역주 평설』, 파주: 문학동네, 2014.

  • Research

    Research Topic

    한시 의상(意象)

    한시 및 전통지식의 분류
    한시 데이터베이스

    한시 주제학
    연행록(燕行錄)

    자만시(自挽詩)

    화상자찬(畵像自贊)

    과체시(科體詩)

     
  • Teaching

    HANM250 한문독해의 첫걸음
    HANM259 한시의 세계
    HANM262 한국 한시 명작 감상
    HANM302 한국한문학사
    HANM369 한문학과 자연과학
    GELA133 한시,영화와엮어읽기

  • Lab Members

    • 고성은
    • 지영원
    • 이상완
    • 이창희
    • 김연주
    • 장웅상
    • 장사작(ZHANG SIZHUO)
    • 최인학
    • 이준규
    • 임자연
    • 김민구
    • 송채은
    • 이예리
    • 양소영
    • 이연지
    • 김남지
    • 육숙정(LU SHUTING)
    • 유지훈
    • 임하나
    • 김영인
    • 김용미
    • 박소진
    • 이원민
    • 김유현
    • 김은주
    • 라은주
    • 이정만
    • 김현수
    • 담선흔(TAM SIN YAN)
    • 김희민
    • 조문경
    • 김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