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조영헌

Tel: 02-3290-2377

E-mail: chokra@korea.ac.kr / chokra@hanmail.net

연구실 : 사범대학 운초우선교육관 508A

학과: 역사교육과 (교수)

세부전공 : 중국근세사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1997.2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졸업
     
    2000.2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석사
     
    * 석사논문 <明代 鹽運法의 變化와 揚州 鹽商―徽商과 山陝商의 力學關係의 變化를 中心으로―>
     
    2003.8-2004.7 중국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訪問學者
     
    2004.9-2006.2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Visiting Fellow
     
    2006.8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박사
     
    * 박사논문 <大運河와 徽州商人 ―明末淸初 淮揚地域을 중심으로―>
     
    2006.9-2007.8 인하대학교 BK21 동아시아한국학 박사후연구원
     
    2007.9-2011.8 홍익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2011.9 - 현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Curriculum Vitae

    동양사학회 연구이사

    명청사학회 섭외이사

    역사교육학회 편집이사

  • Publication

    1. 조영헌, 「明初 運河의 開通과 그 社會經濟的 意義」『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0輯, 1996 (‘The Completion of the Grand Canal and it‘s social-economic Meaning’, “S.N.U. Papers on Asian History” No.22, 1996)

     

    2. 조영헌, 「明淸時代 運送業市鎭의 盛衰 - 江蘇省 瓜洲鎭을 中心으로-」『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1輯, 1997 (The Rise and Fall of the Transport City in Ming-Qing Period: The Case of Guazhouzhen(瓜洲鎭) in Jiangsu Province)

     

    3. 조영헌, 「明末淸初 揚州의 社會變化와 그 性格」『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2輯, 1998

     

    4. 조영헌, 「元 大都와 ‘南北漕運體制’의 성립―‘北京型’ 首都論을 위한 一考察―」『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3輯, 1999

     

    5. 조영헌, 「明代 鹽運法의 變化와 揚州 鹽商―徽商과 山陝商의 力學關係의 變化를 中心으로―」서울대학교 東洋史學科 碩士學位論文, 2000. 2

     

    6.조영헌,  「明代 鹽運法의 變化와 揚州 鹽商―徽商과 山陝商의 力學關係의 變化를 中心으로―」서울『東洋史學硏究』 70, 2000

     

    7. 조영헌, 「前漢 武帝期 漕運論의 展開와 그 性格」『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4輯, 2000

     

    8. 조영헌, 「明淸交替와 揚州 鹽商―淸初 “恤商?裕課” 政策의 性格과 關聯하여―」『中國學報』 43, 2001 (“Ming-Qing Transition and Salts Merchants in Yangzhou: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eature of "Xushang, Yuke" Policy in Early Ching”,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 Vol.43, Aug. 2001)

     

    9. 曺永憲, 「明代徽州鹽商的移居與商籍」『中國社會經濟史硏究』(中國, 厦門), 2002年 第1期 (“The Migration and Merchant Household Registration of Salt Merchants in Huizhou in the Ming Dynasty”, The Journal of Chinese Social and Economic History, No.1, 2002)

     

    10. 조영헌, 「明淸時代 新縣設置와 市鎭社會―江南地域을 中心으로―」『明淸史硏究』(韓國, 明淸史學會) 第17輯, 2002 (“The Formation of New Districts and Shizhen Society during the Ming-Qing Period: Case Study of the Jiangnan Area”, Journal of Ming-QING Historical Studies, No.17, Oct. 2002)

     

    11. 조영헌, 「唐 太宗의 謁陵 儀式과 陪葬」『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6輯, 2002

     

    12. 조영헌, 「大運河와 徽州商人 ― 明末淸初 淮揚地域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東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06년 8월 (The Grand Canal and Huizhou Merchants in Late Imperial China: Focused on Huai-Yang Region)

     

    13. 조영헌, 「17세기 小說을 통해 본 徽州商人의 對外進出과 當面課題」 『明淸史硏究』 第26輯, 2006 (Huizhou Merchants‘ advance to a strange land and their confrontation with dangerous conditions narrated in Vernacular Stories)

     

    14. 조영헌, 「明淸時代 水神祠廟와 徽州商人」 『大丘史學』 第85號, 2006 (Huizhou Merchants and the Renovation of the Temples for Water Goddesses and Gods along the Grand Canal)

     

    15. 조영헌, 「康熙帝와 徽商의 遭遇 ― 흡縣 岑山渡 程氏를 中心으로―」『東洋史學硏究』 97, 2006 (A Chance Encounter between Kangxi Emperor and Huizhou Merchants) → 曺永憲, 「康熙帝和徽商的遭遇―以歙縣岑山渡程氏爲中心」, 『中國社會歷史評論』(南開大學中國社會史硏究中心) 第11卷, 天津古籍出版社, 2010. 8.

     

    16. 조영헌, 「明 後期 ‘短命’으로 끝난 漕糧의 海運과 그 의미」『歷史敎育』 第100輯, 2006 (The Premature Death of Maritime Transport Project during the Late Ming China)

     

    17. 조영헌,  「明末-淸初 善堂-善會와 徽州商人―淮揚地域 運河都市를 중심으로―」『中國史硏究』 2007 (Benevolent Societies, Benevolent Halls, and the Roll of Huizhou Merchants along the Grand Canal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Ch'ing)

     

    18. 조영헌 「見聞錄을 통해 본 元明淸 時代 大運河」『역사문화연구』, 28, 2007. 10 (The Grand Canal during Yuan-Ming-Qing China reflected in the Travels of Foreigners)

     

    19. 조영헌 「대운하」 오금성 등저 『명청시대사회경제사』 이산, 2007

     

    20. 조영헌 「北京 수도론과 대운하 - 明朝를 중심으로-」『중국사연구』55 , 2008. 8 (The Controversy over Capital Beijing and the Grand Canal in Ming Dynasty)

     

    21. 조영헌 「명청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역사학보』199 , 2008. 9

     

    22. 조영헌, 「‘文明崛起’와 ‘제3세계’ - 2000년 이후 중국 고등교육의 세계사 인식 -」, 『역사교육』 112, 2009. 12 (“‘The Rising of Civilization’ and ‘The Third World’ - The Perception of World History in Higher Education since 2000”)

     

    23. 조영헌, 「청조의 首都論과 황제의 巡幸」, 김형종 외 지음, 『중국의 淸史 편찬과 청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1

     

    24. 조영헌, 「원․명․청 시대 首都 북경과 陪都의 변천」, 『역사학보』 209집, 2011. 3. ("Beijing and the Changing Auxiliary Capitals in Late Imperial China")

     

    25. 조영헌 지음, 『대운하와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민음사, 2011

     

    26. 조영헌, 2011, 「중국 근세 강남 도시의 네 가지 흐름 - 성곽 축조 논쟁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제5호, 2011. 6. ("Four Types of City Development in Late Imperial Jiangnan: Centered on the controversy over wall building")

     

    27. 조영헌 역주, 「日本傳」, 동북아역사재단 엮음, 『明史 外國傳 譯註1 - 外國傳 上』 , 동북아역사재단, 2011 

     

    28. 조영헌, 「 『金甁梅󰡕를 통해 본 明末 臨淸과 大運河 유통망」,  『中國學報』  65輯, 2012 (“Linqing and the Grand Canal Distribution reflected in Jinpingmei, Journal of Chinese Studies Vol.65, June 2012) 

     

    29. 조영헌,  「청사공정 10년의 빛과 그림자」,  『민족연구』  52호, 2012. 12 

     

    30. 조영헌,  「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은 유통과 교역망’ - 주제의 설정과 그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39, 2013. 3 “Silver Trade and Its Networks” in the High School Textbook Tong Asiasa : Background and Rationale → 李海英·李翔宇 主編,  『海洋與東亞文化交流󰡕, 靑島, 中國海洋大學出版社, 2014 再收

     

    31. 조영헌,  「‘大運河時代’(1415-1784), 중국의 商業과 邊境 정책」,  『史叢』  81, 2014 “‘The Age of the Grand Canal(1415-1784): Chinese Commerce and Border Policy’”

     

    32. 조영헌,  「1848년 漕糧 海運의 중단, 敎案, 그리고 河運에의 ‘집착’」,  『明淸史硏究』  41집, 2014. 4. “The Interruption of Sea Transport of Tribute Grain, the Qingpu Incident, and an 'Obsession' with the Canal-Grain Transport System in 1848”

     

    33. 조영헌,  「‘17세기 위기론’과 중국의 사회 변화 ― 명조 멸망에 대한 지구사적 검토―」,  『역사비평』  107, 2014 여름호, 2014. 5. “Seventeenth-century Crisis Theory and Fall of the Ming Dynasty: A Global History Perspective”

     

    34. 티모시 브룩 지음, 조영헌 옮김,  『하버드 중국사 원·명 : 곤경에 빠진 제국』 , 너머북스, 2014 [Brook, Timothy, The Troubled Empire: China in the Yuan and Ming dynasties, Cambridge, Mass. :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35. 조영헌, 「積水潭(什刹海)의 위상변화와 수도 北京의 상징성 ― 元의 大都에서 明의 北京으로―」,  『서울학연구』  60호, 2015. 8. “The Role Change of Jishuitan/Shishahai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From Yuan Dadu to Ming Beijing”

     

    36. 조영헌 채경수,  「海商 王直의 興亡과 徽州 네트워크」,  『明淸史硏究』  44輯, 2015. 10. . “The Ups and Downs of Overseas Merchant Wang Zhi and Huizhou Network”

     

    37. 조영헌,  「正德帝의 南巡과 南京」,  『明淸史硏究』  45집, 2016 The Southern Tour of Zhengde(正德) Emperor and Nanjing

     

    38. 조영헌,  「月港開港과 壬辰倭亂」,  『史叢』  90, 2017 The Opening of Yuegang port and Imjin War(1592-1598)

     

    39. 조영헌,  「15世紀 韓中 關係史 ―禮制的·一元的 冊封·朝貢의 確立」,  『東洋史學硏究』  第140輯, 2017. 9. (“Sino-Korean Realtion in the 15th Century: Establishment of Tributary system based on Monistic and Ritual Protocol”,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 No.140, Sep. 2017)) →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편,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 동북아역사재단, 2018. 12

     

    40. 조영헌,  「후기 中華帝國 海洋史 연구의 최근 흐름과 글로벌 히스토리 – 중등 역사 교과서에 대한 제언 - 」,  『민족문화연구』  제77호, 2017. 11. pp.321-357 ISSN (“Maritime History in Late Imperial China since 2000 and Global History”, Korean Cultural Studies, Vol.77, 2017 )

     

    41. 티모시 브룩 지음, 조영헌·손고은 옮김,  『셀던의 중국 지도: 잃어버린 항해도, 향료 무역 그리고 남중국해』 , 너머북스, 2018. 10월 ← 〔Timothy Brook, Mr. Selden's Map of China : The Spice Trade, a Lost Chart and the South China Sea, London : Profile Books, 2015〕

     

    42. 하네다 마사시(羽田正) 엮음, 고지마 쓰요시(小島毅) 감수, 조영헌·정순일 옮김,  『바다에서 본 역사: 개방, 경합, 공생 – 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 , 민음사, 2018 ← 羽田正 編, 小島毅 監修, 『海から見た歷史』(東アジア海域に漕ぎだす 1), 東京大學出版會, 2013 

     

    43. 조영헌,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의 예수회 관련 서술 분석과 제언 – 2011년과 2015년 교육과정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논집』  70집, 2019. 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of the Jesuits in High School textbooks, East Asian History: Focusing on the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 History Education Review Vol.70, Feb. 2019)

     

    44. 조영헌, 「북경은 어떻게 이민족의 수도에서 한족의 수도로 정착되었나? ―明代 北京 遷都 이후 定都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75, 2019 (“How did Beijing change the Capital of the Non-Chinese ethnic group to the Capital of the Han Chinese? : Beijing’s Establishment as the Only Capital after its Relocation during the Ming Dynasty”)

     

    45. 조영헌, 「1522년 北京 會同館의 對朝鮮 門禁 조치와 그 배경」,  『중국학보』  91집, 2020 (“The Strict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and Its Background”)

     

     

  • 저서 및 논문

    1. 조영헌, 「明初 運河의 開通과 그 社會經濟的 意義」『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0輯, 1996 (‘The Completion of the Grand Canal and it‘s social-economic Meaning’, “S.N.U. Papers on Asian History” No.22, 1996)

     

    2. 조영헌, 「明淸時代 運送業市鎭의 盛衰 - 江蘇省 瓜洲鎭을 中心으로-」『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1輯, 1997 (The Rise and Fall of the Transport City in Ming-Qing Period: The Case of Guazhouzhen(瓜洲鎭) in Jiangsu Province)

     

    3. 조영헌, 「明末淸初 揚州의 社會變化와 그 性格」『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2輯, 1998

     

    4. 조영헌, 「元 大都와 ‘南北漕運體制’의 성립―‘北京型’ 首都論을 위한 一考察―」『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3輯, 1999

     

    5. 조영헌, 「明代 鹽運法의 變化와 揚州 鹽商―徽商과 山陝商의 力學關係의 變化를 中心으로―」서울대학교 東洋史學科 碩士學位論文, 2000. 2

     

    6.조영헌,  「明代 鹽運法의 變化와 揚州 鹽商―徽商과 山陝商의 力學關係의 變化를 中心으로―」서울『東洋史學硏究』 70, 2000

     

    7. 조영헌, 「前漢 武帝期 漕運論의 展開와 그 性格」『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4輯, 2000

     

    8. 조영헌, 「明淸交替와 揚州 鹽商―淸初 “恤商?裕課” 政策의 性格과 關聯하여―」『中國學報』 43, 2001 (“Ming-Qing Transition and Salts Merchants in Yangzhou: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eature of "Xushang, Yuke" Policy in Early Ching”,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 Vol.43, Aug. 2001)

     

    9. 曺永憲, 「明代徽州鹽商的移居與商籍」『中國社會經濟史硏究』(中國, 厦門), 2002年 第1期 (“The Migration and Merchant Household Registration of Salt Merchants in Huizhou in the Ming Dynasty”, The Journal of Chinese Social and Economic History, No.1, 2002)

     

    10. 조영헌, 「明淸時代 新縣設置와 市鎭社會―江南地域을 中心으로―」『明淸史硏究』(韓國, 明淸史學會) 第17輯, 2002 (“The Formation of New Districts and Shizhen Society during the Ming-Qing Period: Case Study of the Jiangnan Area”, Journal of Ming-QING Historical Studies, No.17, Oct. 2002)

     

    11. 조영헌, 「唐 太宗의 謁陵 儀式과 陪葬」『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第26輯, 2002

     

    12. 조영헌, 「大運河와 徽州商人 ― 明末淸初 淮揚地域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東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06년 8월 (The Grand Canal and Huizhou Merchants in Late Imperial China: Focused on Huai-Yang Region)

     

    13. 조영헌, 「17세기 小說을 통해 본 徽州商人의 對外進出과 當面課題」 『明淸史硏究』 第26輯, 2006 (Huizhou Merchants‘ advance to a strange land and their confrontation with dangerous conditions narrated in Vernacular Stories)

     

    14. 조영헌, 「明淸時代 水神祠廟와 徽州商人」 『大丘史學』 第85號, 2006 (Huizhou Merchants and the Renovation of the Temples for Water Goddesses and Gods along the Grand Canal)

     

    15. 조영헌, 「康熙帝와 徽商의 遭遇 ― 흡縣 岑山渡 程氏를 中心으로―」『東洋史學硏究』 97, 2006 (A Chance Encounter between Kangxi Emperor and Huizhou Merchants) → 曺永憲, 「康熙帝和徽商的遭遇―以歙縣岑山渡程氏爲中心」, 『中國社會歷史評論』(南開大學中國社會史硏究中心) 第11卷, 天津古籍出版社, 2010. 8.

     

    16. 조영헌, 「明 後期 ‘短命’으로 끝난 漕糧의 海運과 그 의미」『歷史敎育』 第100輯, 2006 (The Premature Death of Maritime Transport Project during the Late Ming China)

     

    17. 조영헌,  「明末-淸初 善堂-善會와 徽州商人―淮揚地域 運河都市를 중심으로―」『中國史硏究』 2007 (Benevolent Societies, Benevolent Halls, and the Roll of Huizhou Merchants along the Grand Canal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Ch'ing)

     

    18. 조영헌 「見聞錄을 통해 본 元明淸 時代 大運河」『역사문화연구』, 28, 2007. 10 (The Grand Canal during Yuan-Ming-Qing China reflected in the Travels of Foreigners)

     

    19. 조영헌 「대운하」 오금성 등저 『명청시대사회경제사』 이산, 2007

     

    20. 조영헌 「北京 수도론과 대운하 - 明朝를 중심으로-」『중국사연구』55 , 2008. 8 (The Controversy over Capital Beijing and the Grand Canal in Ming Dynasty)

     

    21. 조영헌 「명청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역사학보』199 , 2008. 9

     

    22. 조영헌, 「‘文明崛起’와 ‘제3세계’ - 2000년 이후 중국 고등교육의 세계사 인식 -」, 『역사교육』 112, 2009. 12 (“‘The Rising of Civilization’ and ‘The Third World’ - The Perception of World History in Higher Education since 2000”)

     

    23. 조영헌, 「청조의 首都論과 황제의 巡幸」, 김형종 외 지음, 『중국의 淸史 편찬과 청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1

     

    24. 조영헌, 「원․명․청 시대 首都 북경과 陪都의 변천」, 『역사학보』 209집, 2011. 3. ("Beijing and the Changing Auxiliary Capitals in Late Imperial China")

     

    25. 조영헌 지음, 『대운하와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민음사, 2011

     

    26. 조영헌, 2011, 「중국 근세 강남 도시의 네 가지 흐름 - 성곽 축조 논쟁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제5호, 2011. 6. ("Four Types of City Development in Late Imperial Jiangnan: Centered on the controversy over wall building")

     

    27. 조영헌 역주, 「日本傳」, 동북아역사재단 엮음, 『明史 外國傳 譯註1 - 外國傳 上』 , 동북아역사재단, 2011 

     

    28. 조영헌, 「 『金甁梅󰡕를 통해 본 明末 臨淸과 大運河 유통망」,  『中國學報』  65輯, 2012 (“Linqing and the Grand Canal Distribution reflected in Jinpingmei, Journal of Chinese Studies Vol.65, June 2012) 

     

    29. 조영헌,  「청사공정 10년의 빛과 그림자」,  『민족연구』  52호, 2012. 12 

     

    30. 조영헌,  「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은 유통과 교역망’ - 주제의 설정과 그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39, 2013. 3 “Silver Trade and Its Networks” in the High School Textbook Tong Asiasa : Background and Rationale → 李海英·李翔宇 主編,  『海洋與東亞文化交流󰡕, 靑島, 中國海洋大學出版社, 2014 再收

     

    31. 조영헌,  「‘大運河時代’(1415-1784), 중국의 商業과 邊境 정책」,  『史叢』  81, 2014 “‘The Age of the Grand Canal(1415-1784): Chinese Commerce and Border Policy’”

     

    32. 조영헌,  「1848년 漕糧 海運의 중단, 敎案, 그리고 河運에의 ‘집착’」,  『明淸史硏究』  41집, 2014. 4. “The Interruption of Sea Transport of Tribute Grain, the Qingpu Incident, and an 'Obsession' with the Canal-Grain Transport System in 1848”

     

    33. 조영헌,  「‘17세기 위기론’과 중국의 사회 변화 ― 명조 멸망에 대한 지구사적 검토―」,  『역사비평』  107, 2014 여름호, 2014. 5. “Seventeenth-century Crisis Theory and Fall of the Ming Dynasty: A Global History Perspective”

     

    34. 티모시 브룩 지음, 조영헌 옮김,  『하버드 중국사 원·명 : 곤경에 빠진 제국』 , 너머북스, 2014 [Brook, Timothy, The Troubled Empire: China in the Yuan and Ming dynasties, Cambridge, Mass. :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35. 조영헌, 「積水潭(什刹海)의 위상변화와 수도 北京의 상징성 ― 元의 大都에서 明의 北京으로―」,  『서울학연구』  60호, 2015. 8. “The Role Change of Jishuitan/Shishahai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From Yuan Dadu to Ming Beijing”

     

    36. 조영헌 채경수,  「海商 王直의 興亡과 徽州 네트워크」,  『明淸史硏究』  44輯, 2015. 10. . “The Ups and Downs of Overseas Merchant Wang Zhi and Huizhou Network”

     

    37. 조영헌,  「正德帝의 南巡과 南京」,  『明淸史硏究』  45집, 2016 The Southern Tour of Zhengde(正德) Emperor and Nanjing

     

    38. 조영헌,  「月港開港과 壬辰倭亂」,  『史叢』  90, 2017 The Opening of Yuegang port and Imjin War(1592-1598)

     

    39. 조영헌,  「15世紀 韓中 關係史 ―禮制的·一元的 冊封·朝貢의 確立」,  『東洋史學硏究』  第140輯, 2017. 9. (“Sino-Korean Realtion in the 15th Century: Establishment of Tributary system based on Monistic and Ritual Protocol”,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 No.140, Sep. 2017)) →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편,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 동북아역사재단, 2018. 12

     

    40. 조영헌,  「후기 中華帝國 海洋史 연구의 최근 흐름과 글로벌 히스토리 – 중등 역사 교과서에 대한 제언 - 」,  『민족문화연구』  제77호, 2017. 11. pp.321-357 ISSN (“Maritime History in Late Imperial China since 2000 and Global History”, Korean Cultural Studies, Vol.77, 2017 )

     

    41. 티모시 브룩 지음, 조영헌·손고은 옮김,  『셀던의 중국 지도: 잃어버린 항해도, 향료 무역 그리고 남중국해』 , 너머북스, 2018. 10월 ← 〔Timothy Brook, Mr. Selden's Map of China : The Spice Trade, a Lost Chart and the South China Sea, London : Profile Books, 2015〕

     

    42. 하네다 마사시(羽田正) 엮음, 고지마 쓰요시(小島毅) 감수, 조영헌·정순일 옮김,  『바다에서 본 역사: 개방, 경합, 공생 – 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 , 민음사, 2018 ← 羽田正 編, 小島毅 監修, 『海から見た歷史』(東アジア海域に漕ぎだす 1), 東京大學出版會, 2013 

     

    43. 조영헌,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의 예수회 관련 서술 분석과 제언 – 2011년과 2015년 교육과정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논집』  70집, 2019. 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of the Jesuits in High School textbooks, East Asian History: Focusing on the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 History Education Review Vol.70, Feb. 2019)

     

    44. 조영헌, 「북경은 어떻게 이민족의 수도에서 한족의 수도로 정착되었나? ―明代 北京 遷都 이후 定都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75, 2019 (“How did Beijing change the Capital of the Non-Chinese ethnic group to the Capital of the Han Chinese? : Beijing’s Establishment as the Only Capital after its Relocation during the Ming Dynasty”)

     

    45. 조영헌, 「1522년 北京 會同館의 對朝鮮 門禁 조치와 그 배경」,  『중국학보』  91집, 2020 (“The Strict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and Its Background”)

     

     

  • Teaching

    준비중입니다.

  • Lab Members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