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이순영 교수

Prof. Soonyoung Lee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Profile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

    독서작문교육, 국어교육 전공 (Ph.D.)

                                                                            

    bichunn@korea.ac.kr

  • Curriculum Vitae

    학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

    아이오와대학교(Univ. of Iowa) Language, Literacy, & Culture (박사)

                  청소년 몰입형 독자 연구로 박사학위(Ph.D.) 취득 

     

    소속-직위

    2009년 ~ 현재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정교수

     

    학술 활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연구부학장

    고려대학교 한국어교육융합전공 전공주임

    한국리터러시학회 부회장(2021~)

    한국독서학회 연구분과위원장(2024 ~ 2025)

    국어교육학회 기획이사(2023년 ~ 2024)

    국립국어원 심의위원

    학교도서관진흥위원회 위원(교육부 산하)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 위원(서울시교육청 산하)

    도서관운영평가위원회 위원(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산하)

     

    산학 프로그램 연구 개발, 연수

    취약계층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삼성 드림클래스 : 문해력 기르기+주제별 책읽기)

    기업 임직원 대상 특강(삼성인력개발원, 삼성전자 외)

    교사-사서-학부모-학생 대상 독서 및 문해력 관련 강의

    독서 및 문해력 캠프 운영 외

     

  • Publication

        

     

    이순영(2001).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307-338.

     

    이순영(2006). 몰입 독서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201-224.

     

    이순영(2006).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359-381.

     

    이순영(2006). 독서 동기와 몰입 독서의 영향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403-425.

     

    이순영(2008). 독서와 정서, “문식성 교육 연구(노명완·박영목 외)”, 한국문화사.

     

    이순영(2008). 상징적 표상법의 이론과 실제, 국어교육학연구 32, 국어교육학회, 341-367.

     

    이순영(2010).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독서연구 24, 한국독서학회, 87-110.

     

    이순영(2011).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한국어문교육 1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11-340.

     

    이순영(2011). 21세기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의 특성과 시사점 분석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3, 청람어문교육학회, 7-35.

     

    이순영(2011). 텍스트 난도와 텍스트 선정에 관한 독자 요인: 초·중·고등학교 독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 시론, 독서연구 26, 한국독서학회, 61-96.

     

    이순영(2011). 교사들의 텍스트 유형별 선호와 인식 연구: ‘정보 텍스트’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2, 국어교육학회, 499-532.

     

    이순영·송정윤(2012). 중등 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현황 분석 연구,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290-318.

     

    이순영·최숙기·서민정(2012).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성취기준의 적합성 조사 연구,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322-347.

     

    이순영(2013). 2011 개정 국어과 ‘읽기·독서’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독서연구 29, 한국독서학회, 161-185.

     

    이순영·권이은·김별희(2013). 인쇄 텍스트와 디지털 텍스트 문식 활동에 대한 초·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교육종합연구 11(4), 교육종합연구소, 115-136.

     

    이순영(2014).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국어 교사들의 논평 연구: 추구하는 인간상, 목표, 내용 체계에 대한 논평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55, 국어교육학회, 49-76.

     

    이순영·김주환(2014). 대학글쓰기교육과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작문연구 20, 한국작문학회, 135-163.

     

    이순영·권이은(2014). 스마트교육 시대의 읽기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9(2), 국어교육학회, 35-60.

     

    김주환·이순영(2014). 학교 독서정책의 핵심 쟁점과 과제, 독서연구 31, 한국독서학회, 41-69.

     

    김주환·이순영(2015). 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작품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법연구 27, 한국화법학회, 37-65.

     

    이순영(2015).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의 재조명: 독서 이론과 교수학습 측면의 의미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37, 한국독서학회, 39-65.

     

    이순영·최숙기·김주환·서혁·박영민(2015). 『독서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이순영(2016). 초등학교 1학년의 설명문 쓰기 능력 연구: 취학 첫 학기 아동의 초기 문식성 발달의 관점에서,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7-131.

     

    이순영(2016). ‘쓰기 막힘’의 이해와 연구를 위한 시론: 개념, 원인, 연구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52, 한국어교육학회, 285-314.

     

    이순영·송정윤(2016). 중학생의 쓰기 막힘 경험에 대한 설문 연구(1): 쓰기 막힘의 기본 실태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28, 한국작문학회, 123-153.

     

    김주환·이순영·구본희·김태은·김혜진·이정요·송동철(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중학교  국어(한 학기 한 권 읽기), 교육부·대전광역시교육청. 

     

    이순영(2017). 읽기 이론의 역사적 변천과 함의: 1910년 이후 백 년 동안의 패러다임과 이론의 변화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43, 한국독서학회, 213-242.

     

    이순영(2017).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 62, 청람어문교육학회, 67-94.

     

    이순영·유승아(2017). 초등학교 1학년생의 쓰기 발달 연구: 학기와 장르에 따른 양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8,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93-108.

     

    이순영(2017).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 조사 연구: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63, 청람어문교육학회, 145-176.

     

    이순영(2017). 중등예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독서교육론’ 수업의 효과 연구, 국어교육 159, 한국어교육학회, 69-103.

     

    이순영·안찬수·백원근·김해인·박신애(2018). 읽는 사람, 읽지 않는 사람: 함께 읽는 2018 책의 해 독자 개발 연구 보고서, 2018 책의 해 조직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김주환·이순영(2018). 국가 수준 평가·조사의 ‘읽기’ 영역 결과에 대한 재고찰, 리터러시연구 9(2), 한국리터러시학회, 189-223.

     

    최승식·김주환·이순영(2018). 고등학생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 리터러시연구 9(4), 한국리터러시학회, 89-123.

     

    이순영(2018). 한글 깨치기에서 어르신을 위한 그림책 출판까지의 여정: 민들레지역아동센터,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질적 사례분석 연구, 삼성꿈장학재단, 147-213.

     

    박창균·이순영·안찬원·이현진·진용성·박신애(2019). 국어 슬로러너 평가도구 개발, 2018년 국립대학 육성사업 정책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송정윤·이순영(2019). 중학생의 쓰기 막힘 경험에 대한 설문 연구(2): 쓰기 막힘의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27,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1-58.

     

    이순영(2019).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 활동. 집문당.

     

    이순영(2019).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 분석, 리터러시연구 10(5), 한국리터러시학회, 369-400.

     

    이순영(2019). 독자와 비독자 이해하기: 용어, 현황, 특성, 생성·전환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0(6), 한국리터러시학회, 357-384.

     

    이순영·김주환·백원근·박신애(2019). 청소년 독자·비독자 조사 연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김주환·이순영·장봉기·박소희(2020). 중등 작문 교수·학습 실태조사 연구1: 교과 글쓰기(disciplinary writing)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2), 한국리터러시학회, 189-218.

     

    유승아·이순영(2020).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 양상 연구. 한국어문교육 32,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49-75.

     

    이순영(2020). 생각하고 느끼고 말하게 하는 힘: 미얀마 따비에 꿈도서관 사업 사례 연구, 삼성꿈장학재단.

     

    이순영·김해인·박신애(2020). 책 읽는 청소년 독자 형성 실증연구 및 사례조사: 2020 청소년 책의 해 연구 보고서, 2020 청소년 책의 해 네트워크. 

     

    이순영(2021). 초등 자녀의 독서 실태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양상 연구, 한국어문교육 34,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7-42.

     

    유승아·이순영(2021).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양상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 7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45-169.

     

    이은주·이순영(2021).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관련 연구의 성과와 한계. 한국어문교육 35,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85-116.

     

    김주환·이순영·장봉기·박소희(2021). 미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 조사 연구: 한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와 비교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48, 한국작문학회, 51-81.  

     

    이순영(2021). 청소년 비애독자의 현황과 지원 방안 연구: 2018-2020 독자개발연구의 결과 종합. 독서연구 60, 한국독서학회, 63-92.

     

    Jang, B., Park, S., Lee, S., & Kim, J. (2021).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Self- Beliefs, Writing-Beliefs, and Attitude Survey and Its Relationship with Writing Activit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6, 87-107.

     

    이순영·김주환(2022). 대학생 독자의 독서 흥미 변화 양상 연구. 한국어문교육 3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69-103.

     

    이순영(2022).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OECD 역량교육 담론을 바탕으로, 리터러시연구 13(3), 한국리터러시학회, 403-433.

     

    이순영·김주환·천해주(2022). 중학생의 설명글 쓰기 능력 평가 연구. 한국어문교육 4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71-99.

     

    이순영·유승아(2023).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6년간의 설명글 쓰기 발달 분석, 한국어문교육 42,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47-175.

     

    이순영·유승아(2023).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4~6학년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4(2), 한국리터러시학회, 463-487. 

     

    김해인·이수진·이순영(2023).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유형과 특성 분석. 한국어문교육 43,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5-150.
     
    이순영·김주환(2023). 한국과 미국 중학생의 설명글 쓰기 능력 비교 연구. 리터러시연구 14(6), 한국리터러시학회, 13-46.
     
  • Research

     

    연구 분야

     

         

               국어교육

      독서·작문·의사소통 교육, 교육과정·교과서·평가

               문해·독서교육

      기초 문해력, 문식성, 독해, 독서토론, 정보텍스트(논픽션)-온라인 읽기

               청소년 독자

      청소년 독자·필자의 특성과 정체성, 진로 독서

               독자 반응

      독자 특성, 독자 반응, 독서 동기와 몰입과 태도

               읽기쓰기 발달

      독자·필자의 발달, 읽기 부진 진단과 지도

               독서정책

      학교 도서관, 독서 운동, 독서 진흥, 독자 개발

     

  • Teaching

     

    사범대학, 대학원, 교육대학원 전공수업

     

    독서교육론,  작문교육론,  화법교육론, 아동문학과 읽기,

    문식성 연구, 초기 문식성 연구, 국어교육론,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국어교육 연구방법론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