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예.(2023).明末辽东战事题材时事小说中的朝鲜叙写- 以《辽海丹忠录》《镇海春秋》为中心 -. 중국인문과학, 85, 431-443.
(The narration of Korea in Current Event Novels about Liaodong war at the end of Ming Dynasty- Centered on 〈Liao Hai Dan Zhong Lu〉 and 〈Zhen Hai Chun Qiu〉 -)

발행일: 2023년 12월 31일

초록: 명말 시사소설 《요해단충록》과 《진해춘추》는 명나라 말기 명과 후금이 랴오둥(遼東)지역에서 교전에 대해 묘사하고 있는데, 그중에 조선의 외교적 입장과 내정, 군사적인 상황을 크게 다루고 있다. 중국 고전소설에서 다른 나라가 등장하는 것은 흔히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두 소설의 줄거리는 유사도가 매우 높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서로 다른 감정적 색채를 담고 있다. 우선 조선의 외교적 입장에는 《요해단충록》은 명과 후금 사이에 끼인 조선의 어려움을 더 강조하였고, 《진해춘추》는 작가의 주관적인 인식이 지나치게 강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어 조선의 내정에 있어서 《요해단충록》과 《진해춘추》는 '인조반정'의 성격과 명나라의 처사책략에 대해 동일한 태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의 군사적 측면에서는 조선 관리의 실책으로 피해를 받았다는 내용은 소설가의 설계가 명나라 정세에 대한 우려와 조선과의 동맹 지속에 대한 희망을 소설작품을 빌려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이 두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명말 시사소설에서 조선에 대한 문학적 인식을 발굴하고 소설가들의 창작 저변 동기와 우리 현대인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The current affairs novels of the late Ming Dynasty 〈Liao Hai Dan Zhong Lu〉 and 〈Zhen Hai Chun Qiu〉 describe the competition between the Ming and Jin forces in the Liaodong region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y largely involve Joseon's diplomatic stance, internal affairs and military affairs. This phenomenon of other countries appearing in Chinese classical novels is novel. On the surface, the plots of the two novels are very similar, but after careful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the two works contain different
emotional colors. First of all, in terms of Joseon's stance, 〈Liao Hai Dan Zhong Lu〉 emphasizes more the difficulties and helplessness of Joseon sandwiched between the Ming and Jin sides, while 〈Zhen Hai Chun Qiu〉 reveals a side that is too rich in the author's personal subjective emotions. Then in terms of Joseon's internal affairs, 〈Liao Hai Dan Zhong Lu〉 and 〈Zhen Hai Chun Qiu〉 agree on the nature of this political change and the Ming court's handling strategy. Finally, there is the military aspect of Joseon. In the text, the novelist devises a plot that leads to war due to the mistakes of Joseon officials. The novelist also uses literary works to express the Ming Dynasty's concerns about the situation and its continued hope for an alliance with Joseon.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these two novels as the research object, trying to explore the literary understanding of "Joseon" in the current affairs novels of the late Ming Dynasty, and explore the underlying motivations of the novelists' creations and the inspiration for us today.

DOI: 10.35955/JCH.2023.12.85.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