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민혁. (2023). 텍스트마이닝으로 보는 일본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 분석:‘코로나 이전 시기 권역별 양상: KH Coder와 LDA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40. pp.67-102.
(Analysis of Tourism Application Patterns of Japanese Literary Museums through Text Mining:Patterns by Region in the Pre-COVID-19 Period: Through KH Coder and LDA Topic Modeling)

발행일: 2023년 8월

본 연구에서는 닌텐도의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을 중심으로 영어 사용자의 일본 비디오게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유튜브 IGN 채널의 게임 리뷰영상의 댓글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영어 사용자들이 일본 비디오게임에 가지는 인식, 선호도, 평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어 사용자들의 일본 비디오게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함께 등장하는 것을 보아, 이는 이 게임이 영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감정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으며, 선호도와 평가가 분분한 것을 나타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게임의 수준 높은 퀄리티와 콘텐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 사용자의 일본 비디오게임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of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tourism use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s using text mining. Its purpose is to analyze the tourism use of literature museums in Japan to find ways to use them as local tourism facilities.
First, through ‘Listly’ and ‘Python’, the search keyword ‘文学館 (Literary Museum)’ was entered on Japanese travel sites ‘Jaran(じゃらん)’ and ‘4travel’ to collect reviews of ‘Kuchi Komi (below review)’. Japan was divided into eight regions, and the review data collected accordingly were classified. After that, the co-occurrence network was created with KH Coder and LD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with Python.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used as a local tourism resource in Japan throug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of the literature museum, garden facilities, natural scenery, secondary contents, theme parks, and the restoration of birthplace.
Through this paper,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ourism application patterns of Japanese literary museums.